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간관계에서 말이라는 것

by 꼼곰씨 2022. 10. 10.

 언어는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가장 고도화된 수단입니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우리는 예로부터 말에 대한 중요성을 잘 알고 강조했습니다. 나의 행복을 위해 필요한 것(예: 돈, 명예 등)의 획득은 대부분 인간관계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그중 언어는 인간관계를 맺는데 기본 요건입니다.

 1. 말은 말하는 사람의 인상을 만듭니다. 

 David Buss(1953~, 미국)의 저서"욕망의 진화"는 진화 심리학을 기반으로 남녀 간의 특성에 차이를 설명하였습니다. 그에 따르면 여성이 배우자에게 바라는 바람직한 자질 중 지능은 높은 순위에 위치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18개의 자질 중에서는 5위, 별도의 13개의 자질 중에서는 2위)

 언어 구사능력은 구사자의 '지능'을 가늠하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척도입니다. 말을 잘한다는 것을 우리 인생에 매우 유용한 자질입니다. 그를 위해 언어에 대해 약간의 메타인지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언어가 우리 인생에서 갖는 의미를 한번 생각해보길 제안합니다.  

 2. 언어는 한 공동체에 소속 될 수 있는 입장권입니다. 

 인간은 공동체 속에서 살아 가며, 공동체 내 의사소통수단의 핵심은 언어입니다. 언어는 한 공동체에 속하기 위한 입장권입니다. 때로는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언어를 진입장벽으로 여기기도 합니다. 기득권을 쥐고 있는 자신들의 공동체에 입장권을 주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한문 문자표, 메모가 되어있는 영어문서, 프로그래밍 언어 화면
진입장벽이기도 한 한문, 영어, 프로그래밍 언어

1) 한글이 창제 되기 전의 한자.

 한자는 우리의 역사에서 언어가 진입 장벽으로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예입니다. 당시 기득권들은 한글 창제를 극도로 반대하였습니다. 자신들의 공동체에 입장권을 나누어 주고 싶지 않다는 의미였습니다. 

2) 읽어도 의미를 이해하기 힘든 법조문

 왕과 귀족이 다스리 던 사회는 이제 법이 다스립니다. 현대 사회는 법치주의 사회입니다. 하지만, 어느 시대나 기득권은 존재합니다. 법치주의 사회인 현재 기득권 층은 법조문을 쉽게 풀어쓰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을 것입니다. 

 3) 성공을 이루기 위한 기본소양

 세계화 시대 성공이라는 만찬의 입장권은 영어 입니다. 정보화 시대에는 그 입장권이 C언어 등으로 대표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3. 언어는 공동체의 연대감을 형성합니다. 

 언어의 입장권으로서의 특징은 사회 전반에서 확인 됩니다. 대표적으로 청소년들은 기존의 언어를 줄이고, 비틀면서 기성세대와 분리되고 자 합니다. 기성세대에게 입장권을 주지 않기 위한 그들만의 수단입니다. 이런 현상은 산업별로도 일어납니다. 오랜 예로 Fashion업계가 있습니다. (예: 이번 F/W 시즌에는 Color가 Vivid 하지만, Shape은 Mannish 하고 Boxy 한 Outer가 유행할 것입니다.)

 연령, 산업, 직업, 성별, 지역을 가리지 않고 곳곳에서 확인 됩니다. 이는, 언어의 변형이 그 세분화된 공동체 별로 특별한 유용성이 있고, 구성원들 간에 의사소통 효율, 연대감 증진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인간관계 형성에 수단인 언어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언어는 가장 기초적이지만, 가장 중요하고, 가장 고도화되어있는 수단입니다. 말을 잘하는 것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야기하기 전에 언어에 대한 메타인지를 조금 해보았습니다. 다음에 더 이어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글이 어려분 인생의 행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