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야기는 인간관계를 망치는 대화방식 중에서도 가장 말리고 싶은 방식입니다. 말씀드릴 내용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의도치 않게 자신의 인간관계를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인지하지 못하는 이 버릇의 악영향은 매우 강력합니다. 그렇기에 꼭 짚고 넘어가기 위해 이번 글을 작성합니다.
자신도 모르게 상대방과의 인간관계를 초단위로 훼손하는 대화의 버릇은 "문제 내기"입니다. '대화할 때, 이 문제 내기만 안 해도 인간관계 유지에 반은 성공한다.'라고 표현하고 싶을 만큼 말리고 싶습니다.
1. 관계를 망치는 '문제 내기'의 정의.
우리는 주로 상대방을 좀 더 알아 가기 위해 질문은 합니다. 이때의 질문의 문제 내기가 아닙니다. 질문은 답을 내가 알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상대방에게 답을 구하기 위해 질문을 합니다. 아니면, 상대방의 말에 정확한 의도를 확인하기 위해 질문을 합니다. 질문하는 것은 문제 내기가 아닙니다.
때로 우리는 나의 이야기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제를 냅니다. 질문하기와 문제 내기의 큰 차이는 문제를 내는 내가 답을 알고 있느냐 / 답을 모르고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인 문제 내기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단, 대답을 빨리(2초 이내, 상대에게 대답 요구 금지) 내놓아야 상대방이 불편하지 않습니다.
문제가 되는 '문제 내기'란, 자신의 특별함을 강조하기 위해, 쉬운말로 잘난 척을 강조하기 위해 '문제 내기'를 하는 것입니다.
2. 관계를 망치는 '문제 내기'의 특징
인간관계를 망치는 문제의 '문제 내기'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습니다. 불편한 문제 내기를 하는 속마음이 담겨있습니다. 때로는 스스로의 속마음을 마주하는 것은 불편한 일입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특성 때문에 그 악영향이 극대화됩니다. 다. 우리는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불편함을 마주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상대방이 정답을 유추 할 수 있는 근거를 제한적으로 제공합니다.
상대방이 정답을 맞추게 되면 자신의 특별함을 강조하는데 실패합니다. 때문에 상대방이 내가 낸 문제를 맞히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이 내가 낸 문제의 정답을 쉽게 맞히지 못하도록 유추의 근거를 매우 제한적으로 제공합니다.
2) 상대방이 문제를 맞히지 못하고 고전하는 시간을 고의적으로 지연시킵니다.
자신의 특별함을 과시하기 위해 문제를 내는 사람에게, 상대방이 문제를 맞히지 못하고 헤매는 시간은 즐거운 시간입니다. 스스로만 느끼는 자신의 특별함을 만끽하는 시간입니다. 때문에 상대방이 난처해하는 상황이 지속되는 것을 신경 쓰지 못합니다. 상대방이 난처해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신과의 관계가 초단위로 악화됨을 헤아리지 못합니다.
3) 질문이라는 각인효과 까지 이용하여 공감대를 해칩니다.
질문의 형식을 갖춘 문장은 평서문보다 강조의 효과가 큽니다. 이 '문제 내기'는 서로 공감대를 형성해도 모자랄 판에 공감대를 무너뜨립니다. '너와 나는 다른 사람이다. 그러기에는 내가 너무 특별하다.'라는 의도를 질문까지 해가면서 상대방에게 각인시킵니다.
4) '문제 내기' 방식의 대화를 구사하는 사람은 주제마다 이 방식으로 대화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내기'를 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불편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 알면서도 그런 방식으로 대화를 하는 사람은 자신의 특별함을 과시 것에 진심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상대방의 불편함보다 자신의 과시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에게 대화 주제가 바뀌는 것은 자신의 특별함을 과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일 뿐입니다. 주제가 바뀌어도 또다시 상대방의 불편함을 알면서도 문제 내기를 시도합니다.
3. 관계를 망치는 '문제 내기'의 결말
위와 같은 특성 때문에 '문제내기'는 잘 유지되던 인간관계마저 망가 뜨립니다. 바쁘지 않은 상대방이 나와 함께하는 자리를 피한다거나, 잘 지내던 상대방이 점점 나를 피한다거나, 새로운 만남에서 인간관계에 발전이 없다면, 혹시 내가 무의식 중에 이런 방식의 대화를 하지 않은지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글이 길어지니 이번 글은 끊어서 진행 하겠습니다. 오늘은 인간관계를 망치는 '문제 내기'대화법에 대한 정의와 특징을 이야기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예시를 통해 상대방이 느끼게 될 감정을 고려해보겠습니다. 더해 반면교사가 될 만한 이야기도 해보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하 편>으로 이어집니다.
2022.10.12 - [분류 전체보기] - 인간관계를 망치는 최악의 대화 방식 <하 편>
인간관계를 망치는 최악의 대화 방식 <하 편>
인간관계 형성을 망치는 "문제 내기"방식의 대화법에 대해 더 자세한 이야기를 이어가겠습니다. 글의 전달력을 위해 길이를 줄이면서 포스팅을 하는데 <상 편>, <하 편>으로 나누어 이야기 할
chattybear.tistory.com
앞으로도 여러분의 행복에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를 꼼곰히 준비하겠습니다.
댓글